javascript 썸네일형 리스트형 do it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입문 2일차 **이모티콘 기입:윈도우+: let result= confirm("정말로 탈퇴?"); if(result){ document.write("탈퇴 처리되었습니다"); }else{ document.write("탈퇴 취소되었습니다"); } 여기서 if(result)는 왜 탈퇴 처리되었습니다로 결과가 나와? chatgpt:if(result)는 result 변수가 true 값을 가지면 실행되는 조건문입니다. confirm("정말로 탈퇴?") 함수는 확인 창을 띄우고,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true, 취소 버튼을 누르면 false 값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눌러 result가 true가 되었을 때는 "탈퇴 처리되었습니다" 문구가 출력됩니다. 반면, 사용자가 취소 버튼을 눌러 result가 .. 더보기 do it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입문 1일차 document 는 문석 객체이며 문서 출력 메서드인 write()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문서에 출력할때 사용한다. 1. 자바스크립트는 대. 소문자를 구분하여 작성한다. ex) 날짜 객체 생성 : new Date 2. 문자형 데이터를 작성할 때는 큰 따옴표와 작은따옴표 의 겹침 오류를 주의 ex) 오류: document.write("책에 "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합니다"라고 나와 있다."); 잘된 예:document.write('책에 "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합니다"라고 나와 있다.'); 잘된 예:document.write("책에\"자바스크립트는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합니다\"라고 나와 있다."); - 문자형 문자형 (string) 데이터는 문자나 숫자를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 더보기 map 함수의 정의,코테 연습 map() :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다룰때 매운 유요한 메소드중 하나 이 메소드는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면서 각 요소에 대해 지정된 콜백 함수로 호출하고 그 결과를 새로운 배열로 변환해준다. ex) map()메소드를 사용하여 배열의 각 요소에 2를 곱한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예시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doubledNumbers = numbers.map(function(num) { return num * 2; }); console.log(doubledNumbers); // [2, 4, 6, 8, 10 위 코드에서 numbers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num 변수가 차례대로 할당된다. 이후 num*2를 계산하여 반환하는 함수가 map()메소드의 콜백 함수.. 더보기 배열메소드 // 배열 메소드 좀 더 사용 // 배열 메소드가 제일 많이 사용된다. // Array.of(); // 전달된 인자를 요소로 가지는 배열을 만들어준다. // 배열을 생성할때 const arr = Array.of(1,2,3,4,5,6); console.log(arr); // 배열에 원본 배열을 수정하는 메소드 // 결과 값으로 새로운 배열을 반환시켜주는것이 아니고 // 원본 배열을 수정하는 메소드 arr.push(2); console.log(arr); const result = arr.concat(5);// 원본 배열 수정 ㄴㄴ 새로운 배열이 생기고 반환된다. console.log(arr); console.log(result); // 레퍼런스 타입 // console.log(arr == result); /.. 더보기 야구 미니게임 let result 배열안에 0~8까지의 인덱스를 숫자 1~9 중 랜덤 3개를 뽑은것과 매칭시켜 놓았다. (여기는 컴퓨터가 임의의 3개의 숫자를 선정) 만약 렌덤 인덱스에 358 이렇게 선정되면 result.push(numbers[randomIndex]); result.push(numbers[3]); result.push(numbers[5]); result.push(numbers[8]); numbers의 인덱스 3번째 5번째 8번째 를 뽑아주는 거니까 숫자는 4,6,9이렇게 뽑아주고 콘솔창에는 0,1,2 가 4,6,9 랑 매칭이 되어준다. 콘솔 창에 숫자 9가 뜨는 이유는 랜덤값 0~8중에 8이 떴을때 numbers의 8번째 인덱스를 찾는거니까 9라는 숫자를 뽑아준다. let tries = 10; // .. 더보기 프로토타입,클로저,즉시 실행 함수 작성법, 이터러블 //자바스크립트 프로토타입: // JavaScript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입니다. // 이것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가 아닌 객체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다른 객체를 상속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집니다. // 즉, 객체는 다른 객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 이러한 상속 관계를 사용하여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프로토타입은 모든 객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한 속성으로, 이전 객체에서 상속됩니다. // 객체를 만들 때 프로토타입을 지정할 수 있으며, // 이를 통해 해당 객체가 상속할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Person 생성자 함수를 정의 function Person(name,age){ this.name = name.. 더보기 자기소개 웹사이트 만들기 DOCTYPE html> Document Blockchain developer home about skills projects contact i am developer ABOUT ME 기획 디자인 개발 다 하는 인간 스타트업이 되도록 노력중 실내디자인과 출신 , 꾸미고 보여지는 것에 관심이 많아서 front-end쪽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같이 즐겁게 열정적으로 진짜 뭔가를 만들어봐요! CAPABILITY img research phototyping publishing with html/css 2019~2023 실내디자인과 졸업 이 과정은 유니티 엔진을 기반으로 게임 제작에 필요한 요소들과 개인 팁,기업,협업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며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아 비전공자라도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가 되게 하는 것.. 더보기 클래스의 생성자 함수와 static함수 class Mother{ constructor(name, age){// 생성자 함수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getInfo(){ return console.log(`이름은 : ${this.name} 나이는 : ${this.age} 입니다.}`) } } let temp = new Mother("아무개" , 30); temp.getInfo(); // 클래스의 상속 자식 클래스가 부모클래스를 상속받아서 부모클래스의 기능을 // 사용할수있다. //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 // extend 키워드를 사용해서 클래스를 상속 시킬수 있다. //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상속 받아서 사용 할수있다. class Child extends Mother{ // 비워놓자 // 비워놓으면 자동..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