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깃허브 링크!
html

블록체인 3일차

스타일은 속성을 부여해준다.

display에서 flex는 가로로 정렬 세로로 정렬을 시켜주는 블록의 기능을 한다.

padding(태그 내부 여백), margin(외부의 여백)

 

문단정리를 할때는  div로 묶어주는게 나중에 정리가 편하다.

*ctrl+a 후에 ctrl+k+f를 하면 전체 문단을 세로로 정리시켜줘서 태그 빼먹은 부분을 찾기에 용이하다.

 

#은 id를 지칭하고 .은 class를 지칭한다.

 

 

아래처럼 똑깥은 내용을 많이 바꿔줘야할때 바꾸고 싶은 내용(같은 내용)을 선택후 ctrl+f한후 바꿀 대목을 기입하면 하나하나 안바꾸고 손쉽게 바꿔줄수 있다.

div로 시작후 border 몇px후 solid까지 입력해줘야 테두리가 생성되고 width는 폭 margin은 간격을 띄워준다.

그다음 h1,h2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니 볶음밥 글씨가 제일 크고 그다음 가격이 조금 더 작다.

div style 이렇게 썼으니 div에 테두리 추가 기능이 생겼고 이 안에 담긴 내용을(볶음밥,가격) div로 닫으니 볶음밥,가격도

div테두리 안에 담긴다라고 난 이해했다.(아닐수도 있음)

 

 

 

강사님이 메모 타이핑만으로는 할수 없는 것들도 알려주셨는데

ul이 부모태그 li가 자식태그로 목록 리스트를 정리하는데 사용한다.

 

저번에 배웠던거 복습하는 식으로 실습을 진행해보았다.

 

강사님이 다 외우라고 하셨던 내용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