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a = [];
for(let i =1; i<=50; i++){
a.push(i);
}
console.log(a);
let b = [];
for(let i =1; i<=50; i++){
b.push(i);
}
console.log(b);
----------------- 업 다운
console은 콘솔창에 결과가 나오지만 alert는 바로 나와준다.
let maxCount = parseInt(prompt("게임 몇번할래?")) // 게임횟수 이걸로
prompt도 함수의 속성이 있어서 100을 입력하면 parseInt(100)이 되는 셈
playerSelect = prompt(`${subText}\n숫자를 입력하세요 \n최소 : ${min} | 최대 ${max} | 남은횟수 : ${maxCount - count}`)
if(min >= playerSelect || max <= playerSelect){
subText = `너 입력값 확인해~ 최소 : ${min} | 최대 : ${max}`
continue; // 다시입력 하셈
}
&&를 안쓰고 ||를 쓴이유는 숫자는 하나만 선택가능한데 &&는 숫자 두개를 선택한 경우이기 때문
if(만약 이런경우에~~)
else if(if가 아닌 다른 경우에~~)
else (남은 경우의수 한가지인 경우에~~)
게임의 로직이
내가 만약 50을 뽑았는데 업 이러면
min = playerSelect이니까 50이 미니엄으로 되어서
subText= `너 입력값 확인해~ 최소:50 | 최대:100이 되는데
50이나 100을 뽑으면
if(min (50)>= playerSelect || max(100) <= playerSelect){
subText = `너 입력값 확인해~ 최소 : ${min} | 최대 : ${max}`
continue; // 다시입력 하셈
}
50과 100도 포함이 되는 경우이니까 다시 입력 하셈 이라고 뜬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야구 미니게임 (0) | 2023.04.06 |
|---|---|
| 프로토타입,클로저,즉시 실행 함수 작성법, 이터러블 (0) | 2023.04.05 |
| 자기소개 웹사이트 만들기 (0) | 2023.04.03 |
| 클래스의 생성자 함수와 static함수 (0) | 2023.03.31 |
| 자습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