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ver message = ‘h1’;
변수선언 변수 = 값
console.log(message);
변수를 보여달라
= hi가 출력됨
초창기에는 var 사용
현재는 const 사용
const나 var을 입력하면 보라색이 뜨는데
이거는 이미 js에서 사용하는 언어라는것을 뜻함
js에는 let으로 정의하는걸 추천
그러면 const 와 let의 차이점은
let은 한번 선언하고 나서 변수의 값을 변경가능하다
const는 이미 한번 선언하면 변경 불가능하다
let b = 20;
b= 30;
이러면 20에서 30으로 변경됨
let a = 10;
let b = ‘hi’;
let c = true;
let d = [];
let e = {};
숫자
문자열
지니값
배열
객체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이 배열에 선언될수 있다.
카멜케이스
: 여러 단어로 이름을 지었을때
두 번째 단어부터 첫 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하는 규칙
함수 (파라미터를 안넣은거)
function logText() {
console.log(‘hi’);
}
logText();
=> hi
함수(파라미터를 넣은거)
function logText(message) {
console.log(message);
}
logText(‘hi’);
=>hi
함수의 호출 반환값
function logText(message) {
return message;
}
let a = logText(‘hi’); // (이런식의 함수의 값을 넣어줘도 됨)
a
=>hi
파라미터 없이 return값만 줘도 logText라는 함수를 실행하면 a가 반환
function logText() {
return 'a';
}
logText();
=> ‘a’
파라미터란?
function logText(message) {
console.log(message);
}
=>
function logText(message) 에서 message부분이 파라미터(매개변수)
함수를 변수처럼 활용-일급함수 (난이도 좀 있음) 아직 부족함
var logText = function() {
console.log(‘hi’);
}
logText라는 변수에 함수를 할당
마치 함수가 변수처럼 어디든 할당될수 있다.
화살표 함수
var logText = () => {
console.log('hi');
}
()=> 이게 function()이거랑 동일함
화살표 함수 축약 문법 2가지
return 을 안써도 결과는 같은
let logMessage = () => ‘a’;
logMessage();
=>’a’
여기서 이해가 안갔던건 logMessage는 변수인데 어떻게 ()를 붙인건가
이거는 logMessage에 함수를 저장한 거라서
변수이자 함수처럼 사용할수 있는 값이라는 것
인자(파라미터 값)를 1개만 선언하는 경우 인자를 받을 때 사용하는 소괄호()를 생략 가능하다.
let logNumber = num => {
return num
}
logNumber(2);
=>2
let logNumber = num => num;
logNumber(1);
=>1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etInterval() 메서드 this 이벤트 리스너 (0) | 2023.05.24 |
|---|---|
| js( foreach활용,쿼리셀렉터,onclick,`${}`) (0) | 2023.05.22 |
| Do it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입문 5일차 (0) | 2023.04.25 |
| Do it 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입문 4일차 함수 (0) | 2023.04.20 |
| Do it 자바스크립트 + 제이쿼리 입문 4일차 함수 전까지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