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App() {
const API_KEY = '0b99d295cfa7cbbaa3cdc197e28cacc4';
const [location, setLocation] = useState('');
const [result,setResult] = useState({});
const url = `https://api.openweathermap.org/data/2.5/weather?q=${location}&appid=${API_KEY}`;
const searchWeather = async (e) => {
if (e.key === 'Enter') {
try {
const data = await axios({
method: 'get',
url: url
});
console.log(data);
setResult(data);
} catch (err) {
alert(err);
}
}
};
return (
<AppWrap>
<div className='appContentWrap'>
<input
placeholder='도시를 입력하세요'
value={location}
onChange={(e) => setLocation(e.target.value)}
type='text'
onKeyDown={searchWeather}
/>
{Object.keys(result).length !==0 && (
<ResultWrap>
<div className='city'>{result.data.name}</div>
<div className='temperature'>{Math.round(((result.data.main.temp-273.15)*10))/10}</div>
<div className='sky'>{result.data.weather[0].main}</div>
</ResultWrap>
)}
</div>
</AppWrap>
);
}
export default App;
const AppWrap = styled.div`
width: 100vw;
height: 100vh;
.appContentWrap {
left: 50%;
top: 50%;
transform: translate(-50%, -50%);
position: absolute;
padding: 20px;
}
input{
padding:20px;
border:2px black solid;
border-radius: 16px
}
`;
const ResultWrap = styled.div`
margin-top: 60px;
padding: 10px;
border: 1px black solid;
border-radius: 8;
`
물론! 위의 코드는 searchWeather라는 함수로,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눌렀을 때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const searchWeather = async (e) => {: searchWeather 함수를 선언하고,
async 키워드를 사용하여 비동기 함수로 만듭니다.
이 함수는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f (e.key === 'Enter') {: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Enter" 키인지 확인합니다.
사용자가 검색창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날씨 검색을 시작합니다.
try {: try 블록 안에서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을 시도합니다.
const data = await axios({ ... });: axios를 사용하여 비동기적으로 서버에 HTTP GET 요청을 보냅니다.
이때 await 키워드를 사용하여 비동기 요청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요청의 응답 데이터는 data 변수에 할당됩니다.
console.log(data);: 응답 데이터를 콘솔에 출력합니다.
이는 개발자 도구의 콘솔에서 API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디버깅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setResult(data);: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왔다면, setResult 함수를 사용하여
data를 result 상태로 업데이트합니다. 이렇게 하면 화면에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catch (err) { alert(err); }: 만약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catch 블록 안에서 에러를 잡아서 알림창으로 에러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색창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axios를 통해 OpenWeatherMap API로 요청을 보내고,
성공적인 응답이 있으면 해당 데이터를 result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됩니다.
실패하면 에러를 알림창으로 보여줍니다.
ChatGPT
물론! 위의 코드는 JSX를 사용하여 화면을 렌더링하는 부분입니다. 각 부분을 해석하겠습니다.
return ( ... ): return 구문은 JSX를 반환하여 화면에 렌더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코드는 화면에 두 개의 컴포넌트를 보여줍니다: AppWrap과 div 컴포넌트입니다.
<AppWrap>: 스타일드 컴포넌트로 정의된 AppWrap 컴포넌트를 사용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전체 화면을 감싸는 역할을 하며,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div className='appContentWrap'>: CSS 클래스 이름이 'appContentWrap'인 div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앱의 내용을 감싸고 있으며, 입력 창과 검색 결과를 포함합니다.
<input ...>: 입력 창을 생성하는 input 컴포넌트입니다. 사용자가 도시 이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된 값을 location 상태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placeholder 속성을 사용하여 입력창에 미리 힌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value={location}: 입력 창의 값에 location 상태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입력과 상태를 동기화합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값은 location에 저장되며, 이 값이 입력 창에 표시됩니다.
onChange={(e) => setLocation(e.target.value)}: 입력 창의 값이 변경될 때마다 setLocation 함수를 호출하여 location 상태를 업데이트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location에 저장합니다.
type='text': 입력 창의 타입을 텍스트 형태로 지정합니다.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onKeyDown={searchWeather}: 사용자가 키를 눌렀을 때 searchWeather 함수를 호출합니다. 위에서 설명한대로, 사용자가 검색창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searchWeather 함수가 실행되어 날씨 정보를 가져옵니다.
{Object.keys(result).length !==0 && ( ... )}: result 객체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해당 블록을 실행합니다. 즉, 검색 결과가 있을 때만 아래의 내용을 표시합니다.
<ResultWrap>: 스타일드 컴포넌트로 정의된 ResultWrap 컴포넌트를 사용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검색 결과를 감싸고 있으며, 검색된 도시의 이름, 온도, 날씨 상태 등을 보여줍니다.
<div className='city'>: CSS 클래스 이름이 'city'인 div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검색된 도시의 이름을 보여줍니다. result.data.name은 API 응답 데이터에서 도시 이름을 가져옵니다.
<div className='temperature'>: CSS 클래스 이름이 'temperature'인 div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검색된 도시의 온도를 보여줍니다. result.data.main.temp는 API 응답 데이터에서 온도를 가져옵니다.
<div className='sky'>: CSS 클래스 이름이 'sky'인 div 컴포넌트를 생성합니다. 이 컴포넌트는 검색된 도시의 날씨 상태를 보여줍니다. result.data.weather[0].main은 API 응답 데이터에서 날씨 상태를 가져옵니다.
이렇게 App 컴포넌트는 입력 창을 통해 도시 이름을 받아서 OpenWeatherMap API로 요청을 보내고, 받아온 날씨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간단한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합니다.